Surprise Me!

[세계를 보다]美·中, 미래 걸린 ‘반도체 대전’

2022-10-16 7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시진핑 신 체제는 미국을 제치고 세계 최강국으로 올라선다는 ‘중국 몽’에 더 박차를 가할 겁니다.<br> <br> 이 꿈을 현실로 바꿀 무기가 바로 ‘반도체’죠. <br><br>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 꺾기 위해서 미국도 글로벌 시장 재편 전략에 들어갔습니다.<br> <br> 우리에게도 선택의 시간이 얼마 남지 않았습니다.<br> <br> 세계를보다, 곽정아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빌딩 숲 위로 날아오르는 이 택시는 중국의 벤처 기업 샤오펑이 만든 전기 비행 택시입니다. <br><br>한 번 충전에 30여 분간 운행할 수 있고, 활주로 없이 수직 이착륙은 물론 무인 비행도 가능해 미래의 이동 수단으로 주목받고 있습니다.<br> <br>2024년까지 서비스 상용화가 목표입니다. <br> <br>[밍간 추/ '샤오펑' 총괄책임자] <br>"가장 혁신적인 도시 두바이에서 처음으로 전기 택시를 공개했습니다. 국제 사회로 가기 위한 첫 발걸음입니다." <br><br>아이들이 직접 타고 등하교할 수 있는 자율주행 '로봇 말', <br><br>다양한 감정을 식별해 대화할 수 있는 사람형 로봇 휴머노이드 '사이버원' 로봇도 등장했습니다. <br><br>유연한 움직임의 댄싱 로봇, 자율 주행 택시까지 이 모든 게 중국 빅테크 기업들이 최근에 일궈낸 성과입니다. <br> <br>그러나 이런 중국의 신사업 질주에 미국은 제동을 걸고 있습니다. <br><br>현지시각 12일 공개된 바이든 정부의 국가안보전략에는 중국을 "경제·외교·군사·기술적 힘을 모두 갖춘 유일한 경쟁자"라고 명시했습니다.<br><br>바이든 미 행정부가 최근 발표한 강력한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도 같은 맥락에서 나왔습니다. <br>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(지난 6일)] <br>"미국이 첨단 반도체 생산을 주도해야 합니다. 이 법(반도체산업육성법)이 그걸 가능하게 만들 겁니다." <br>  <br>해당 기술이나 장비가 첨단 무기로 전용될 수 있다는 게 제재의 표면적 이유지만, 반도체 기술 분야의 목줄을 쥔 미국이 중국의 도전에 맞서 미래 먹거리 지키기에 나선 겁니다. <br><br>반면 시진핑 3연임 시대가 개막하면 중국은 제조업 초강대국을 목표로 설정한 '중국 제조 2025'를 더 가속화할 전망입니다. <br> <br>반도체, 로봇, 전기차 등 10대 핵심 산업을 육성해, 궁극적으로 미국을 따라잡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2025년까지 반도체 자급률을 70%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반도체굴기 역시 중국 제조 2025에서 비롯됐습니다.<br> <br>[박재근 / 한양대 교수(융합전자공학부)] <br>"미국은 반도체 설계를 하고 대만의 TSMC나 한국의 삼성전자에 위탁 생산을 의뢰해 만든 제품을 중국에 수출하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반도체를 중국에서 직접 만들겠다고 하니까 미국에서 제재를 시작했던 것이고요. 그렇지만 여전히 시장은 중국에 있는 겁니다." <br> <br>핵심 기술을 마당 안에 두고 담장을 높이는 미국과 기술 자립이 국가 안보라고 외치는 중국의 벼랑 끝 대치가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곽정아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곽정아 기자 kwak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